최홍원 사진
최홍원
  • 학위: 박사
  • 연구실 : (R관)미래백년관 (R421)
  • 연락처 : 02-781-7550
  • 세부전공 : 국어교육전공
이메일
학위
  • 박사,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, 200802
  • 학사,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, 200002
경력
  • 방문교수, SOAS in London University, (2020.03~2021.02)
  • 전공이사, 출판편집이사, 편집위원, 한국어교육학회, (2013.07~ )
  • 편집위원, 국어문학회, (2013.03~ )
  • 편집이사, 총무이사, 정보이사, 한국문학교육학회, (2013.01~ )
  • 연구이사,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, (2013.01~ )
  • 연구위원, 교과용도서 검정심의회, (2012.12~2014.12)
  • 편집위원, 교원교육, (2012.06~ )
  • 이사, 한국언어문학회, (2012.01~ )
  • 검정위원, 교과용도서 검정심의회, (2011.01~2013.01)
  • 조교수, 전주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, (2010.03~2012.02)
  • 부연구위원, 한국교육과정평가원, (2008.05~2010.03)
  • 국어능력개발인재양성팀, 서울대 BK21 , (2007.~2008.)
  • 연구원,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, (2000.~2008.)
논문
  • 삶의 문제와 가치 실현으로서 가객 시조의 문학교육적 탐구 ㅡ 김천택의 시조를 대상으로, 시조학논총, 202401
  • 만세보 해동영언을 통해 본 고전문학의 사회적 대응과 수용의 문제, 어문학, 202312
  • 혼재와 교섭의 문명 전환 시대, 『만세보』 해동영언을 통한 고전문학의 과거와 미래 탐구, 고전문학과 교육, 202310
  • 공감과 탐구로서의 고전문학 교육 연구 - <고산구곡가>를 중심으로 -, 국어교육, 202305
  • <상춘곡> 연구의 지표와 교육의 지평, 한국언어문학, 202211
  • <만전춘별사>와 고전문학교육의 관계항 탐색, 고전문학과 교육, 202210
  • 고전시가 위기의 진단과 문제 해결의 좌표-관계성의 복원과 이해의 지평을 중심으로, 국어국문학, 202209
  • 가시리의 교과서 수용사와 고전시가 교육의 과제, 선청어문, 202208
  • ‘두어라’ 표현의 다기성에 대한 일고, 시조학논총, 202207
  • 교과서 수록 제재를 통한 고려속요 교육의 인식과 변화의 도정-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-, 국어교육, 202205
  • 향가 소통 구조의 외연과 사뇌가의 내포, 한국시가연구, 202201
  • 문제 해결을 위한 자료 탐구 역량의 문학교육적 탐색, 문학교육학, 202112
  •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의 비판적 점검과 교육적 대안의 모색, 한국언어문학, 202109
  • 역량교육으로서의 문학, 문학교육으로서의 역량 - 역량을 통한 문학교육의 투시 -, 문학교육학, 202109
  • 시조에 나타난 노래하기의 외연과 내포, 시조학논총, 202107
  • 교과서 수록 고전시가 제재의 외연과 고전시가 교육의 향방 -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중심으로 -, 문학교육학, 202106
  • <누항사>의 교육적 위기와 고전문학생활사 교육의 제언, 문학교육학, 202012
  • 고전시가 제재의 교과서 수용과 맥락에 대한 통시적 고찰 - 5차 교육과정 시기를 중심으로, 국어문학, 201911
  • 고전문학생활사의 구도와 <정읍사>의 탐구 내용, 우리문학연구, 201910
  • 북한 국어교육의 외연적 맥락과 내포적 의미의 탐색 ―중국 어문교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, 국어교육학연구, 201909
  • 북한 문학교육을 통한 문학교육론의 투시와 성찰 - 북한의 2013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중심으로 -, 문학교육학, 201909
  • 역량에 대한 비판적 점검과 국어교육의 재구조화 가능성 탐색, 교육과정연구, 201903
  • 동질성과 이질성의 길항과 통일 문학교육의 도정 -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본 통일 문학교육의 방향과 과제 -, 문학교육학, 201903
  • 고전시가 제재의 교과서 수록의 도정과 교육적 인식의 탐색, 고전문학과 교육, 201902
  • 고전문학생활사 연구 시론 - 화전가를 대상으로 -, 문학교육학, 201809
  • <강호사시가(江湖四時歌)> 경험 세계의 교육적 구도와 지평, 시조학논총, 201807
  • 시조 ‘3장 6구’와 ‘종장 첫 구’의공서(共棲)와 시조 연구의 과제 ―시조 형식론과 율격론을 다시 살피다―, 국어문학, 201803
  • 국어교육 속의 시조, 시조 속의 국어교육-<도산십이곡>을 중심으로, 시조학논총, 201801
  • 창의 연구의 방법적 회의와 교과교육으로서 창의의 실현 가능성 탐색-까마귀 소재 시조를 대상으로-, 국어교육, 201711
  • 시조 속 감각을 찾아 나서다, 새국어생활, 201709
  • 고전문학 제재의 교과서 수용과교육적 인식에 대한 통시적 고찰- <정과정>의 교과서 수용사 탐색을 중심으로, 국어문학, 201707
  • 고전문학 제재의 수록 맥락과 교육적 인식의 탐색 -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-, 고전문학과 교육, 201706
  • 고전문학 제재 수록의 이면과 그 배경의 탐색 -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-, 문학교육학, 201703
  • 설(說)을 대상으로 한 비판적 사고 교육의 실행 가능성 탐색 - <슬견설(?犬說)>과 <경설(鏡說)>에 대한 독자 반응을 중심으로 -, 문학교육학, 201609
  • 문학교육을 통한 비판적 사고의 재구조화 연구, 국어문학, 201608
  • 잘 알면서도, 잘못 알았던 시조 - 시조 담론에서의 오류와 오개념을 찾아서 -, 문학교육학, 201606
  • 문화적 문식성의 교육적 실현에 대한 방법적 회의, 국어교육연구, 201512
  • 정치적 소통과 글쓰기로서 고전문학 읽기 - 드러냄과 감춤의 미학을 중심으로 -, 국어문학, 201511
  • 북한 고전문학 인식의 발전적 수용과 과제, 한국언어문학, 201509
  • <만언사>의 재미, 흥미와 소통의 의미, 고전문학과 교육, 201508
  • 탄로가의 진술방식과 태도의 변주, 문학교육학, 201506
  • 문학 경험의 구조와 기제 탐구 서설, 문학교육학, 201412
  • 고전문학 텍스트의 경험적 자질 탐색-<청산별곡>을 대상으로-, 국어교육, 201411
  • 공간을 중심으로 한 <북찬가(北竄歌)>의 새로운 이해와 접근, 국어국문학, 201406
  • 정치적 행위로서의 글쓰기, <죽창곡>과 감군의 정서, 어문학, 201406
  • 현대시조의 시조성과 현대성에 대한 교육론적 탐색, 한국언어문학, 201406
  • 국가 수준 국어과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해 본 고전시가의 교육적 인식, 한국언어문학, 201312
  • 핵심 역량의 관점에 기반한 국어교육의 재구조화 연구, 새국어교육, 201312
  • 활성적 기억으로서 <남정가>와 시간성의 경험, 문학교육학, 201308
  • <오륜가>와 출처(出處)의 두 얼굴:주세붕의 <오륜가>와 박인로의 <오륜가>의 거리, 국어국문학, 201304
  • 주세붕 <오륜가>의 표현 전략 연구 -교훈시조 작품군과의 비교를 중심으로-, 한국언어문학, 201303
  • 북한의 고전문학 교육 내용 연구-교과서 수록 작품의 선정 배경과 맥락을 중심으로, 고전문학과 교육, 201302
  • 북한의 상고시대 문학론을 통한 고전문학관의 탐색-북한 사회주의 문학론과 고전문학 특수성의 만남과 충돌-, 문학교육학, 201212
  • 문학 수용과 생산의 매개 : 고전시가를 대상으로 한 쓰기의 교육적 탐색, 새국어교육, 201209
  • <덴동어미화전가> 작품 세계의 중층성과 통과의례를 통한 개인의 성장, 선청어문, 201209
  • 해석과 수용의 거리와 접점 - 이조년의 시조를 대상으로 -, 개신어문연구, 201206
  • ‘안빈낙도(安貧樂道)’의 경험 교육 내용 탐색 -가치의 경험과 문학교육론-, 한국언어문학, 201203
  • 자기 조정과 위안으로서 <탄궁가>의 정서 읽기, 고전문학과 교육, 201202
  • 정훈 시가 다기성에 대한 시학적 이해, 국어국문학, 201112
  •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고전시가 제재 수록 현황과 맥락 분석, 교육과학연구, 201112
  • 고전시가의 패러디를 통한 창의성 교육의 실제와 과제, 한어문교육, 201105
  • 사고와 연행의 시각에서 바라본 구술성의 교육적 구도, 고전문학과 교육, 201102
  • 문제 해결적 사고에 대한 문학교육적 탐색, 국어교육연구, 201012
  • 국어과 사고 영역 체계화 연구, 새국어교육, 201008
  • 고대가요에 대한 국어교육적 탐색 -사고와 경험의 문제를 중심으로-, 국어교육학연구, 201008
  • 판소리 흥미 연구 서설 -확인과 일탈의 길항을 중심으로-, 국어교육, 200906
  •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 및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이수 연한 혁신 방안 연구, 교육과정연구, 200906
  • 웃음 문화 비교론, 웃음문화, 200906
  • 고전시가 관계 치환의 교육 내용 연구 -남성 작자의 여성 화자 작품을 중심으로-, 문학교육학, 200904
  • 고전시가 모호성의 교육적 이해, 국어교육연구, 200902
  • 정체확인형 사설의 놀이성과 언어 이해의 확장, 선청어문, 200809
  • ‘역군은(亦君恩)’ 표현과 경험의 세계-관념적 표현의 교육적 자질에 대한 小考-, 고전문학과 교육, 200808
  • 시조에 구현된 웃음의 문화적 의미와 미학, 웃음문화, 200806
  • 신흠의 시조와 경험교육 연구, 문학교육학, 200804
  • 문학교육에서 경험의 재개념화와 교육적 실천을 위한 연구 교육적 실천을 위한 연구, 국어교육학연구, 200708
  • 성찰적 사고의 문학교육적 구도 -도산십이곡과 어부사시사를 대상으로, 문학교육학, 200612
  • 놀이로서의 언어 교육 내용 연구, 배달말교육, 200610
  • 엇디하리 표현을 통해 본 고전문학교육의 가능성, 고전문학과 교육, 200602
  • 매체 개념과 국어교육의 가능성 연구, 선청어문, 200509
저역서
  • 중학교 국어 3-1, 지학사, 20200301
  • 중학교 국어 3-2, 지학사, 20200301
  • 중학교 국어 3 교사용지도서, 지학사, 20200301
  • 문학교육을 위한 고전시가작품론, 사회평론아카데미, 20190909
  • 중학교 국어 2-1, 지학사, 20190301
  • 중학교 국어 2-2, 지학사, 20190301
  • 중학교 국어 2 교사용지도서, 지학사, 20190301
  • 중학교 국어 2-1, 지학사, 20180831
  • 중학교 국어 2-2, 지학사, 20180831
  • 중학교 국어 2 교사용지도서, 지학사, 20180831
  • 중학교 국어 1-1, 지학사, 20170901
  • 중학교 국어 1-2, 지학사, 20170901
  • 고등학교 국어, 지학사, 20170901
  • 중학교 국어 1 지도서, 지학사, 20170901
  • 국어교육, 사고에 답하다, 역락, 2017
  • 고전문학의 재미와 흥미, 월인, 20161231
  • 고전문학 경험교육론 : 고전문학이 묻고, 경험이 답하다, 역락, 2015
  • 고전문학과 정서 교육, 월인, 20140310
  • 사고와 표현, (주)사회평론아카데미, 20140227
  • 성찰적 사고와 문학교육론, 지식산업사, 20120907
  • 초중등 교직논술, 교육과학사, 20110801
학술발표
  • 콘텐츠의 시대,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-고전문학 기반 콘텐츠 개발 수업의 실제와 가능성 탐색, 한국언어문학회, 20231117
  • 만세보 소재 해동영언을 통해 본 고전문학의 과거와 미래,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, 20230817
  • 정극인 선생 문학작품 국문학적 위상, 불우헌정극인보존회, 20221012
  • 고전시가 위기의 진단과 문제 해결의 좌표-관계성의 복원과 이해 지평을 중심으로, 국어국문학회, 20220521
  • 고전시가 위기의 진단과 문제 해결의 좌표, 국어국문학회, 20220521
  • 향가 소통 구조의 외연과 사뇌가의 내포, 한국시가학회, 20211211
  • 역량 교육으로서의 문학, 문학 교육으로서의 역량-역량을 통한 문학교육의 투시, 한국문학교육학회, 청람어문교육학회, 20210804
  • 역량의 호출과 국어교육의 응답-역량에 대한 비판적 점검과 국어교육의 재구조화 탐색, 한국교육과정학회, 20181215
  • 역량의 호출과 국어교육의 응답: 역량에 대한 비판적 점검과 국어교육의 재구조화 가능성 탐색, 한국교육과정학회, 20181215
  • 동질성과 이질성의 길항과 통일 문학교육의 도정, 한국문학교육학회, 20181201
  • 동질성과 이질성의 길항과 통일 문학교육의 도정-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본 통일 문학교육의 방향과 과제, 한국문학교육학회, 20181201
  • 국어교육 속의 시조, 시조 속의 국어교육, 한국시조학회, 20171209
  • 창의 연구의 방법적 회의와 교과 내용으로서 창의의 실현 가능성 탐색, 한국어교육학회, 20170909
  • 문학교육콘서트4: 잘 알면서도, 잘못 알았던 시조-시조 담론에서의 오류와 오개념 들추기, 한국문학교육학회, 20160430
  • 문화적 문식성의 교육적 실현에 대한 방법적 회의,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, 서울대BK21+창의적 국어교육 미래인재양성팀, 20151024
  • 만언사의 재미, 흥미와 소통의 의미,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, 20150210
  • 북한 고전문학 연구의 발전적 수용과 과제, 한국어문학회, 20141101
  • 북한 고전문학 연구의 발전적 수용과 과제, 한국어문학회, 20141101
  • <덴동어미화전가> 다시 읽기: 작품 세계의 중층성과 인간의 성장, 국어문학회, 20120817
  • 북한의 고전문학교육 내용 연구-교재론과 장르 및 작품론을 중심으로,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, 20120703
  • 해석과 수용의 거리와 접점, 개신어문학회, 20120420
수상
  • 강의평가 최우수상, 상명대학교, 20240215
  • 강의평가 우수상, 상명대학교, 20230823
  • 강의평가 우수상, 상명대학교, 20180820
  • 해암학술상, 서울대 해암학술상 수상자 선정위원회, 201512
  • 교수업적평가 우수상, 상명대학교, 20140219
  • 교수 FD 프로그램 수업평가 우수상, 상명대학교, 20140219
  • 강의평가 우수상, 상명대학교, 20130821
  • 저서분야 우수상, 상명대학교, 20130220
  • 논문분야 우수상, 상명대학교, 20130220
프로젝트
  • 고전시가 제재의 교과서 수용사 및 관여 요인과 지배 담론에 대한 통시적 고찰, 한국연구재단, (2018.05~2021.04)
  • 장병 병영생활 언어순화지침서 개발, 국방부, (2015.05~2015.12)
  • 2015 국어과 교육과정, 교육부, (2015.01~2015.09)
  • 핵심 역량에 기반한 국어교육의 재구조화 연구, 한국연구재단, (2012.05~2013.04)
  • 국어과 사고 영역 체계화 연구, 한국연구재단, (2008.11~2009.10)